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뇌클러스터전문포털(K-Brain Net)
LOGIN
JOIN
LANGUAGE
English
Japanese
뇌연구자원검색
사이트맵
전체메뉴 열기
로그인
회원가입
LANGUAGE
English
Japanese
메뉴 닫기
소개
인사말
한국뇌은행
비전 및 목표
연혁
추진체계
추진사업
한국뇌은행네트워크
운영체계
KBBN 뇌은행
BI
뇌연구자원과 뇌은행
뇌연구자원
뇌은행
윤리강령
책임운영지침
CI
찾아오시는길
뇌기증
뇌기증 프로그램
안내
홍보 동영상
브레인나눔 로고
FAQ
뇌기증희망등록
신청절차
온라인 상담 신청
브레인나눔 누리현황
서비스
분양신청 서비스
분양신청 안내
분양신청 절차
뇌연구자원 검색
분양데스크
분양신청 FAQ
기탁신청 서비스
기탁신청 안내
기탁신청 절차
기탁데스크
기탁신청 FAQ
표본제작 서비스
표본제작신청 안내
표본제작신청 절차
표본제작 데스크
표본제작신청 FAQ
브레인 아카이브
KBBN 뇌병리 아카이브
안내
뇌구조
뇌병리 프로토콜
알림・자료
공지사항
소식
법령·지침·서식
자원 현황
뇌기증 희망 등록 통계
뇌연구자원 기증 통계
뇌연구자원 보유 통계
뇌연구자원 분양 통계
임상정보 스펙트럼
활용성과
발간물
관련 사이트
관련 학회
국외 뇌은행
분양신청
뇌질환 연구를 위한 뇌자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바로가기
뇌기증희망등록
뇌기능희망등록에 대한 신청절차에 대해 안내합니다.
바로가기
뇌연구자원검색
뇌연구자원검색
검색 닫기
뇌연구자원검색
뇌연구자원검색
01
분양신청
서비스
뇌질환 연구를 위한 뇌자원
제공서비스
자세히보기
02
기탁신청
서비스
연구자가 보유한 뇌자원의
안정적 보존 서비스
자세히보기
03
표본제작
서비스
뇌조직 표본을 제작하는
연구지원 서비스
자세히보기
Beyond Your Future
뇌연구의 미래를
선도하는
KBBN
이 되겠습니다.
Beyond Your Future
당신의 용기있는 생각,
뇌 연구 분야
의
큰 미래가 됩니다.
Beyond Your Future
국가 뇌연구
역량 활성화
를
위해 힘쓰겠습니다.
이전 비주얼이미지 이동
01
다음 비주얼이미지 이동
일시정지
재생
이전 팝업 이동
일시정지
재생
다음 팝업 이동
Operational Status
KBBN
운영현황
권역별 의과대학 및 종합병원과 함께 한국뇌은행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3,237
뇌기증희망등록자
2,797
인체뇌자원 기증자
360
사후뇌자원 기증자
90,250
보유 뇌자원 수량
3,240
분양 뇌자원 수량
KBBN
뇌은행
국내 뇌연구자원의 안정적인 확보-분양체계 구축을 위해 협력병원뇌은행을 선정‧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전
다음
KBBN 협력병원 뇌은행 더보기
전남대학교병원 뇌은행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주소
광주 동구 제봉로 42 (학동) 전남대병원 뇌은행
연락처
062-220-6179
은행장
최성민 교수(전남대병원 신경과)
연구진
김병채 교수(전남대병원 신경과) 김형석 교수(전남대학교의과대학 법의학교실) 이경화 교수(화순전남대병원 병리과)
코디네이터
황빛나
서울아산병원 뇌은행
Asan Medical Center
주소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43길 88 (풍납동) 융합연구관 4층. 서울아산병원 뇌은행
연락처
02-3010-4755
은행장
정선주 교수(서울아산병원 신경과)
연구진
이은재 교수(서울아산병원 신경과) 남수정 교수(서울아산병원 병리과) 조성양 교수(서울아산병원 신경과)
코디네이터
류지홍
강원대학교병원 뇌은행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백령로 156 (효자동) 강원대병원 뇌은행
연락처
033-258-4944
은행장
김성헌 교수(강원대병원 신경과)
연구진
장재원 교수(강원대병원 신경과) 김예신 교수 (강원대병원 신경과) 천인국 교수(강원대병원 핵의학과)
코디네이터
고나영
인제대학교 뇌은행
Inje University
주소
부산 부산진구 복지로 75 (개금동) 인제대학교 뇌은행
연락처
051-890-8819
은행장
김상진 교수(부산백병원 신경과)
연구진
정은주 교수(부산백병원 신경과) 정진호 교수(부산백병원 신경과) 허대영 교수(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코디네이터
김은양
세브란스병원 뇌은행
Severance Hospital
주소
서울 서대문구 연세로 50-1 (신촌동) 세브란스병원 본관5층. 세브란스병원 뇌은행 사무실(뇌신경센터내)
연락처
010-4083-5548
은행장
김어수 교수(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진
김세훈 교수(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박종필 교수(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법의학교실) 이상국 교수(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코디네이터
윤희중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뇌은행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주소
서울 서초구 반포대로 222 (반포동) 서울성모병원 별관 지하 2층.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뇌은행
연락처
02-2258-7660
은행장
김중석 교수(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신경과)
연구진
김인범 교수(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임현국 교수(가톨릭대학교 가톨릭 뇌건강센터) 유태룡 교수(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코디네이터
이정민
충남대학교병원 뇌은행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주소
대전 중구 문화로 282 (대사동) 충남대학교병원 뇌은행
연락처
042-280-6313
은행장
오응석 교수(충남대병원 신경과)
연구진
최송이 교수 (충남대병원 병리과) 이주연 교수 (충남대병원 신경과) 장희진 교수 (충남대병원 신경과)
코디네이터
권현주
서울아산병원 태아뇌은행
Fetal Brain Bank
주소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43길 88 (풍납동) 융합연구관 4층. 서울아산병원 태아뇌은행
연락처
02-2045-3762
은행장
염미선 교수(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연구진
정의석 교수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정진훈 교수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남수정 교수 (서울아산병원 병리과)
코디네이터
이인숙
알림・자료
공지사항
새글
[알림] (25.09.02) 뇌클러스터 전문포털 접속 및 서비스 제한 안내
뇌클러스터 전문포털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아래와 같이 포털 접속 및 서비스 제한 사항을 안내드립니다.-(일시) 2025.09.02(화) 09:00-18:00 상기 일정은 점검 진행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2025.08.27
[알림] (25.08.06) 뇌클러스터 전문포털 접속 및 서비스 제한 안내
뇌클러스터 전문포털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아래와 같이 포털 접속 및 서비스 제한 사항을 안내드립니다.-(일시) 2025.08.06(수) 14:00-16:00 (2시간 예상) 상기 일정은 점검 진행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2025.08.04
[알림] 뇌클러스터 전문포털(K-Brain Net) 개인정보처리방침 변경고지(24.11.29)
뇌클러스터 전문포털(K- Brain Net)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이 다음과 같이 변경된 내용으로 2024년 11월 29일자에 시행될 예정입니다.포털 이용에 참고 부탁드립니다.<변경 조항 및 변경 사항>(1조) 개인정보의 처리목적 : 목적의 구체화(3조) 개인정보 제3자 제공에 관한 사항 : 제3자 제공에 대한 예외조항 최신화(4조) 개인정보 처리 위탁에 관한 사항 : 개인정보 위탁 업체 정보 현행화(6조) 처리하는 개인정보 항목 : 개인정보 처리항목 현행화(13조) 개인정보처리방침 변경 :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자 현행화
2024.11.18
공지사항 더보기
활용성과
[보고서] 발달지연 뇌질환 혈액으로부터 미토콘드리아 대사 관련 단백질 확인
나노베지클 내 단백질 및 전사체 등 오믹스 아틀라스 정보 분석 및 뇌질환 원인물질에 대한 병인 기전 연구 동물모델 및 뇌 질환 환자의 혈액 및 조직으로부터 나노베지클을 분리하여 단일세포 전사체 기반의 나노베지클 전사체 동정 기술 확립 단계 중 한국뇌은행에서 분양받은 다양한 뇌질환 환자의 혈액에서 엑소좀을 추출하여 동물실험을 통하여 분석된 뇌질환 관련 후보 단백질들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미토콘드리아 대사관련 단백질들의 존재를 확인하였습니다.
2024.08.30
[논문] 대조군과 AD 뇌조직을 이용하여 신경병리학적 질환에 새로운 치료방안 제시
Monoclonal antibody Y01 prevents tauopathy progression induced by lysine 280–acetylated tau in cell and mouse models (JCI, 2023) IF: 19.456 https://doi.org/10.1172/JCI156537본 연구에서는 한국뇌은행네트워크로 부터 확보한 정상인과 치매환자의 뇌조직을 활용하여 tau-acK280이 seeding 및 propagation 활동에 관여하는 핵심 종이라는 관찰에 기초하여, acK280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Y01 항체가 타우병증과 관련된 AD 및 기타 신경퇴행성 질환에 대한 유망한 치료 후보임을 밝혔다.
2024.07.13
[논문] 사후 뇌조직을 이용하여 GPCR19-P2X6R 염증 억제 경로 규명
GPCR19 Regulates P2X7R-Mediated NLRP3 Inflammasomal Activation of Microglia by Amyloid b in a Mouse Model of Alzheimer’s Disease(Frontiers in Immunology, 2022) F: 8.787https://doi.org/10.3389/fimmu.2022.766919 2022년에 국내 식약처로 부터 임상 1상 시험을 승인받은 NuCerin 약물의 주성분인 TDCA가 GPCR19 와 P2X7R 막 수용체 단백질의 양을 조절하여 염증복합체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뇌염증을 억제한다는 것을 이번 연구에서 확인하였다. TDCA 약물을 10 주간 투여받은 치매 마우스는 위 약을 투여받은 치매 마우스에 비해 현저히 뇌 염증이 감소되어 신경세포의 손상이 줄어들고 인지능력이 회복되었다. 한국뇌은행네트워크에서 확보한 정상인과 치매환자의 뇌조직을 비교하여 새롭게 발견된 GPCR19-P2X6R 염증 억제 경로가 치매 환자의 뇌에서도 뇌염증 유무에 따라 마우스처럼 발현이 조절된다는 것을 밝혔다.
2024.07.10
활용성과 더보기
뇌병리 아카이브
디지털 브레인 아카이브 바로가기
뇌부검 및 진단
교육 동영상
뇌부검및 진단교육 관련 동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뇌부검 및 진단 교육 동영상 바로가기
뇌부검 및 진단 교육 동영상 바로가기
뇌병리 아카이브 안내
뇌구조
뇌기증
뇌연구자원 분양
뇌연구자원 기탁
연구용 표본제작
뇌기증
나눔누리
자세히보기
뇌기증 희망등록
브레인나눔 누리현황
268명
전라제주권
139명
충청권
768명
경상권
448명
강원권
1,311명
수도권
이전
다음
일시정지
이전
다음
일시정지
챗봇
TOP